배타성이라고 하면 덜 거슬리실까요? 실제로 정부 규제나 통신사가 하는 일이 그렇습니다. 트위치 쫓아낸거 보셨잖아요
전체 국민으로 싸잡혀서 우리 입장에서는 기분 나쁘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우리나라 정부와 공권력의 권한이 필요 이상으로 커 보이겠죠. 원본 댓글에도 정부의 선전에 의한 결과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문화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배타성이라고 하면 덜 거슬리실까요? 실제로 정부 규제나 통신사가 하는 일이 그렇습니다. 트위치 쫓아낸거 보셨잖아요
전체 국민으로 싸잡혀서 우리 입장에서는 기분 나쁘지만, 외국인 입장에선 우리나라 정부와 공권력의 권한이 필요 이상으로 커 보이겠죠. 원본 댓글에도 정부의 선전에 의한 결과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문화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Hacker News 의견
한국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고객들이 서버에 연결하려고 할 때 엄청난 요금을 부과하려고 함. 이에 회사는 피어 투 피어(P2P) 방식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자 ISP가 고객 컴퓨터에 스파이웨어를 설치함. "좋은 한국 인터넷"이라는 신화가 어디서 왔는지 궁금함.
경찰이 KT의 데이터 센터에서 정보를 발견하고, KT 직원과 하청업체를 포함한 13명을 악성코드 공격과 관련해 기소함. 미국에서는 경찰이 이런 사건에 관심을 두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함.
한국의 정보 기술(IT)은 하드웨어 관련 기술과 구별되며, 매우 나쁨.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들에 비해 기술력이 떨어지며, 문화적 요인도 문제임. KT는 국가 자산으로 간주되며, 악성코드 감염 사건은 국가적 차원의 문제임.
한국의 IT/인터넷 기술이 최고라고 믿는 국민들이 많음. 이러한 집단 의식이 한국의 기술 발전을 저해하고, 법과 합의를 무시하는 경향을 초래할 수 있음. 이는 심각한 기술-문화적 문제임.
한국의 한 대형 은행이 아마존을 금융 사기 업체로 블랙리스트에 올림. 이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문화적 문제임.
KT가 민영화되기 전까지 한국의 인터넷은 세계 최고 수준이었음. 민영화 이후 ISP들이 이익 추구에만 집중하면서 네트워크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음.
악성코드가 사용자에게 어떻게 전달되었는지 설명되지 않음. MITM(중간자 공격)이나 트래픽 취약점을 이용했을 가능성 있음.
제목이 클릭을 유도하는 방식임. 사용자가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서 BitTorrent 프로토콜을 이용한 것임.
한국의 네트워크 사용 법적 상황은 매우 불합리함. 네트워크 운영자들이 양쪽 끝에서 요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짐. 대기업들이 모든 것을 소유하고 정부는 그들의 이익을 중재하는 역할을 함.
ISP와 정부가 MITM(중간자 공격)을 수행함. 한국 헌법에도 불법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를 무시함. SNI 필드를 스캔하고 패킷을 조작하여 사용자가 특정 사이트에 접근하지 못하게 함.
관련된 임원들의 자산을 청산하고 회사 자산을 매각하면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