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llen은 90년대 중반 Greenspan과 다른 이들에게 인플레이션이 2%일 때 임금 인상을 주지 않으면 사실상 임금을 낮추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고 함. 이는 노동 비용을 조정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음. 또한 Greenspan 재임 시 인플레이션 계산 방식이 변경되었는데, 이는 정부가 인플레이션에 연동된 혜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다주었으나, 빈곤층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다고 함.
은행이 돈을 찍어내면 부자가 되고, 물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이 생긴다고 함. 은행은 효율성 증가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하락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흡수할 수 있으며, 추가로 2%를 더 찍어낼 수 있다고 함. 이는 수세기 동안 은행으로의 부의 은밀한 이전이었으며, 주택 가격을 예로 들어 화폐 단위의 가치 하락을 설명함.
공개적이고 구속력 있는 인플레이션 목표가 있으면 경제 주체들이 서로 예측 가능해지고 안정화에 도움이 된다고 함. 인플레이션 목표가 있느냐 없느냐 자체가 특정 목표치를 결정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함.
경제학 수업에서 인플레이션 목표 2%의 이유로,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나쁘며, 인플레이션이 소비를 촉진하고 성장을 이끈다는 점과, 인플레이션이 실질적인 부채 가치를 줄인다는 점을 배웠다고 함.
인플레이션 목표를 정하는 과정이 우연하고 생각보다 덜 체계적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STEM 분야의 결정들도 종종 이와 유사하다고 함.
Paul Krugman은 인플레이션 목표 2%에 대한 이론적 가정이 실제로는 사실이 아니었다고 주장함. 인플레이션 목표가 낮으면 경기 침체 시 대응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
높은 인플레이션 수준은 공공 부채 수준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예산 적자를 줄이려는 정치적 의지가 없기 때문에 피할 수 없다고 함. 사회 보장 프로그램의 파산 위기 등이 상황을 악화시키며, 인플레이션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실제로는 목표 수준을 벗어난 인플레이션을 경험할 것이라고 함.
인플레이션 목표의 무작위성과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로 인한 디플레이션을 예로 들며,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영향에 대한 개인적 견해를 제시함. 인플레이션은 불필요한 지출을 유도하고, 디플레이션은 필요한 물건을 구매할 때까지 기다리게 함으로써 더 건강한 경제 활동을 촉진한다고 주장함.
인플레이션을 2%로 유지하는 이유는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끔찍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함. 인플레이션은 인기가 없기 때문에 낮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경제 성장을 촉진하거나 외부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이자율을 "낮출" 여지를 남겨두려고 함.
Hacker News 의견